정치이슈

김정은, 70년 금기 깨고 베이징 간다... 이재명 대통령과 첫 대면 가능성에 정치권 촉각

 이재명 대통령이 다음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80주년 전승절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남 가능성이 정치권의 최대 화두로 부상했다.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전승절에 참석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 대통령의 참석 여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그간 전승절 참석 문제를 놓고 고심해왔으나, 최근까지는 국내 의전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한국 대표로 참석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왔다. 이에 따라 남북 고위급 접촉이 필요할 경우, 우원식 의장이 김 위원장과 만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남북 정상 간 만남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이 대통령에게 베이징 전승절은 김 위원장과 첫 대면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기회로 부상했다. 이로 인해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여부를 두고 새로운 고민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드러내왔다. 지난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백악관 정상회담에서도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제안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이 그러한 자리를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개최 예정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김 위원장을 초청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이 자리에서 남북 정상회담뿐만 아니라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의 북미 정상회담도 성사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북한 정권이 지난 70년간 다자외교 무대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APEC 참석 가능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하지만 이번에 김 위원장이 중국 전승절이라는 다자외교 무대에 모습을 드러내기로 결정함으로써, 향후 APEC 기간 중 북미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북한이 전통적인 외교 패턴에서 벗어나 국제무대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진 현 시점에서, 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은 한반도 정세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여부에 대해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나, 김 위원장의 참석 확정으로 인해 한국 정부의 결정에 더욱 무게가 실리게 되었다. 향후 며칠간 대통령실의 움직임이 한반도 정세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포토